근육 만들려다 '단순 과식범' 될라…내 몸에 맞는 진짜 단백질 섭취량, 정확히 알려줌

2025-11-13 18:05
 단백질 보충제와 고단백 식단을 내세운 웰니스 산업의 마케팅이 과열되면서, 과학계의 경고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셜미디어와 인플루언서들은 근육 성장과 다이어트를 명분으로 신체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양의 두 배가 넘는 단백질 섭취를 부추기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 과식'에 불과하다고 일축한다. 단백질이 필수 영양소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현재의 고단백 열풍은 과학적 근거보다는 공격적인 마케팅이 주도하는 식이 트렌드라는 비판이 거세다. 과학자들은 무분별한 단백질 섭취가 건강에 별다른 이점을 주지 못하며, 오히려 불필요한 과잉 섭취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단백질 섭취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상업적 논리에 의해 왜곡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단백질 권장 섭취량에 대한 논의는 19세기부터 이어져 왔으며, 시대에 따라 그 기준 또한 변화해왔다. 과거 단백질 결핍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으로 제시되었던 '체중 1kg당 0.8g'이라는 RDA 권장량은 오늘날 최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최근 연구들은 건강한 성인의 경우 체중 1kg당 1.2g에서 1.6g 사이의 단백질을 섭취할 때 가장 이상적인 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체중 70kg의 성인이라면 하루 84g에서 112g의 단백질 섭취가 권장되는 셈이다. 이는 과거의 최소 기준치를 넘어, 개인의 활동 수준과 건강 목표에 맞춰 보다 적극적으로 단백질 섭취량을 조절해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물론 특정 집단에게는 일반 성인보다 더 많은 단백질이 요구된다. 근감소증을 겪는 노년층이나 고강도 훈련을 소화하는 운동선수, 근육량 증가를 목표로 하는 사람들은 단백질 섭취량을 늘렸을 때 분명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실제 7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체중 1kg당 1.1g의 단백질을 섭취한 그룹은 0.7g을 섭취한 그룹보다 근육 손실이 40%나 적었다. 하지만 여기서 주목할 점은, 건강한 성인이 저항 운동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백질 섭취를 늘리더라도 체중 1kg당 1.6g을 초과하는 섭취는 근육 증가나 근력 향상에 더 이상의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즉, 특정 임계점을 넘어서는 단백질 섭취는 무의미한 과잉일 뿐이다.

 

더 나아가 전문가들은 단백질 섭취의 핵심이 단순히 '양'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20개의 아미노산, 특히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아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9개의 필수 아미노산을 균형 있게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은 체내 흡수 및 통합 속도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우월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다양한 식품을 통해 필수 아미노산을 고루 섭취하는 것이다. 현재 통용되는 단백질량 계산 방식이 아미노산 균형이나 조리법, 가공 방식의 영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따라서 맹목적으로 단백질 보충제에 의존하기보다는, 다양한 음식으로 구성된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단백질의 '질'을 높이는 것이 현명한 접근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