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뒤통수' 맞고도 "화요일에 만나자" 제안한 진짜 속내
2025-09-12 16:55
이날 오전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송 원내대표는 포문을 열었다. 그는 민주당이 특검 수사 기간을 무리하게 연장하고 조직을 비대화시키는 개정안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고 지적하며, 이 과정에서 민주당 지도부가 보인 행태를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우스운 촌극"이라고 규정했다. 특히 '여의도 대통령'으로 불리는 정청래 법사위원장을 직접 겨냥했다. 송 원내대표는 "정 위원장이 여야 합의안을 사전에 보고받고도 아무것도 모르는 척, 뻔뻔하게 모든 책임을 같은 당 원내지도부에 뒤집어씌우려 했다"고 주장하며 날을 세웠다.
그의 비판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민주당 원내지도부가 "일단 정부조직법을 통과시키고 나중에 특검법을 개정해 수사 기간을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을 문제 삼으며, "결국 한식에 뒤통수치나 청명에 뒤통수치나, 언젠가는 야당의 뒤통수를 치고 특검을 연장하려 했다는 얄팍한 모략을 스스로 실토한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이는 시점의 차이만 있을 뿐, 결국 합의를 깰 의도가 처음부터 내재되어 있었다는 주장이다. 정희용 사무총장 역시 "대통령 취임 100일에 여야 협치는 내팽개쳐졌다"고 거들며 당 차원의 실망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송 원내대표는 이처럼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는 와중에도 대화의 끈을 완전히 놓지는 않는 이중적인 전략을 구사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 100일 국정파탄 실정 토론회'에서도 민주당의 신의 없음을 재차 지적하면서도, "특검법 합의 번복과 관계없이, 여야 민생경제협의체 구성 합의는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나아가 "다음 주 빠른 시간 내에, 가급적 화요일(16일) 이전에 여야 민생경제협의체 첫 회의를 하자"고 구체적인 시한까지 제시하며 역으로 민주당을 압박했다.
이는 강성 지지층에 휘둘려 약속을 파기한 민주당과 달리, 국민의힘은 정치적 공방 속에서도 오직 '민생'을 위해 대승적으로 협치에 나서는 책임 있는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부각하려는 고도의 정치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파기된 합의에 대한 비판은 강하게 이어가되, 민생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의 문은 열어두겠다는 제안을 통해 민주당을 '민생을 외면하고 정쟁만 일삼는 정당'으로 프레임화하려는 전략적 노림수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지난 8일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어렵게 합의된 '원내대표-정책위의장-정책수석'으로 구성된 6인 협의체의 공을 민주당 코트로 넘기며, 협치 파탄의 책임을 명확히 하려는 의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