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협상 불발' 분노 폭발! 9일부터 '관세 보복' 시작된다
2025-07-02 10:15
1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플로리다 방문 후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기내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일본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그는 "우리는 일본을 상대해 왔는데, 합의를 할지 확신을 못하겠다. 의문시된다"고 언급하며, 일본산 수입품에 "30%나 35% 또는 우리가 결정하는 어떤 수치"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지난 4월 9일 상호관세 유예 직전 일본에 책정했던 24%의 관세율을 훨씬 뛰어넘는 수치로, 일본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서도 일본이 "대량의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우리의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비판하며 무역 관련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특정 품목을 지목하며 압박하는 트럼프식 협상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9일,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57개 경제 주체(56개국 및 유럽연합)에 대해 차등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이 결정은 불과 13시간 만에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해 90일간 유예되는 것으로 번복되었다. 당시 이러한 유예의 주된 목적은 해당 기간 동안 각국과 관세율 조정, 무역 불균형 해소, 그리고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의제로 심도 있는 협상을 진행하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은 이 90일간의 협상 과정이 그가 기대했던 성과를 내지 못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이는 곧 유예 기간 만료를 앞두고 협상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 국가들에게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책정한 상호관세율을 통보하겠다는 기존의 경고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
이번 조치는 단순히 일본에 국한되지 않고, 한국과 유럽연합 등 다른 주요 교역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무역사회에 큰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각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은 미국의 무역 적자를 줄이고 자국 산업을 보호하겠다는 명분 아래 시작되었지만, 이는 자칫 글로벌 무역 전쟁으로 비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7월 9일 이후의 국제 무역 환경은 더욱 예측 불가능하고 불안정한 시기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