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불청객' 비염과 이별하는 법
2025-04-29 16:13
세종충남대병원 이비인후과 박수경 교수는 ‘코의 날’을 맞아 알레르기 비염의 특징과 관리법을 소개하며 질환에 대한 인식을 바로잡고 예방과 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은 감기와 유사한 증상으로 혼동되기 쉬우나, 원인과 치료 접근법이 전혀 다르다. 전염성 질환인 감기와 달리 알레르기 비염은 전염되지 않으며, 주로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애완동물의 비듬 등 알레르기 항원에 의해 면역반응이 유발되어 발생한다. 감기는 갑작스럽게 두통, 인후통, 콧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반면, 알레르기 비염은 반복적으로 증상이 나타났다가 완화되기를 반복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 비염 환자들은 흔히 가려움 증세를 동반하며, 결막염이 병행되면 눈 가려움, 충혈, 눈물 등의 증상도 동반된다.
유전적인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박 교수는 "부모 모두에게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자녀에게 유사한 알레르기 성향이 나타날 확률은 최대 75%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경우 환경적 요인을 더욱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바퀴벌레, 꽃가루, 애완동물의 털 등과 같은 항원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알레르기 비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 알레르기 비염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학업 및 업무 능률 저하, 수면 장애, 사회적 위축, 집중력 저하 등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으며, 천식, 부비동염, 중이염 등 다른 호흡기 질환으로 이어질 위험도 높아 치료가 필수적이다.

치료는 크게 네 가지 방법으로 이뤄진다. 우선 항원을 피하는 회피요법이 기본이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을 제거하기 위해 침구류는 진드기 차단 커버로 교체하고, 55도 이상의 뜨거운 물로 자주 세탁해야 한다. 실내 습도는 50% 이하로 유지하고, HEPA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애완동물을 키운다면 침실에는 들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꽃가루가 많은 날이나 황사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삼가고 부득이한 경우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증상이 심할 경우 약물치료를 병행한다. 대표적으로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먹는 약과 국소 스프레이 약이 있으며, 이들 약물은 비염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다만 박 교수는 혈관을 수축시켜 코막힘을 일시적으로 개선하는 일부 스프레이를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약물치료로도 효과가 미흡한 경우엔 수술이나 면역치료도 고려된다. 면역치료는 원인 항원을 수년간 소량씩 주입해 체질을 바꾸는 방식으로,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생활습관 개선도 중요하다. 꽃가루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 시에는 긴팔 의류와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다. 외출 후 즉시 샤워하고 옷을 갈아입는 것도 알레르기 항원 제거에 도움이 된다. 특히 오전 6시부터 10시 사이에는 기온 변화가 급격해 호흡기 점막이 민감해지기 쉬우므로 이 시간대에 실외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실내 환기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 사이 짧고 자주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밖에도 담배 연기, 스프레이 제품, 찬 공기, 미세먼지 등 호흡기를 자극하는 요소들은 알레르기 비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박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은 단순한 계절성 질환이 아닌, 생활의 질을 심각하게 해칠 수 있는 질병”이라며 “정확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 그리고 환경 조절을 통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질환”이라고 강조했다. 매년 반복되는 봄철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